콜로세움의 이번 <로지스틱스 트렌드 인사이트 2025>는 국내 이커머스 패권 경쟁 분석은 물론, K-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진출 전략까지 다룹니다. 2024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의 물류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해 보세요. 아래는 하이라이트만 정리한 것으로 더 많은 데이터와 인사이트는 PDF 리포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다운로드하세요.
일시적인 한류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K-브랜드 파워

K-팝과 K-드라마로 시작된 한류는 이제 K-뷰티, K-푸드, K-패션으로 확장되며 일시적 유행을 넘어 지속 가능한 브랜드 파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해외 소비자들은 한국 문화를 단순히 경험하는 수준을 넘어 한국 제품을 꾸준히 소비하고 있으며, 그 결과 ‘K’라는 접두사가 붙은 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Cross Border E-commerce)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이는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직구, 국내에서 해외로 나가는 역직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글로벌 전자상거래 전체를 의미합니다.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0년 약 1,158조 원, 2021년 7,840억 달러였으며, 2030년에는 약 7조 9,3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연평균 30% 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로 글로벌 이커머스의 핵심 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커머스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2020년 4억 1000만 달러 수준이던 수출 금액이 2023년에는 9억 9000만 달러로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커머스 거래 금액 측면에서 수입보다 수출이 더 크게 성장한 것으로 화장품과 음반 같은 기록용 매체, 식료품 등이 이커머스 수출을 이끌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국경 간 장벽이 낮아지고, 모바일 중심의 쇼핑 트렌드가 확산된 데 더해 글로벌 물류 인프라 강화, 플랫폼별 현지화 전략 확대, 그리고 풀필먼트 서비스 수요 증가가 맞물린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대기업만 가능했던 해외 진출이 이제는 플랫폼+풀필먼트+현지화 패키지를 통해 중소기업도 글로벌 시장에 손쉽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마존·쇼피 같은 글로벌 플랫폼과 콜로세움 같은 물류 파트너가 든든한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K-뷰티 & K-푸드 수출액의 증가
.png%253FspaceId%253Deb9457b2-3851-4078-a3d5-11c538650f2f%3Ftable%3Dblock%26id%3D27f2f6e0-088e-8033-ac26-ca810191e874%26cache%3Dv2&w=1920&q=75)
K-뷰티는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과시하며 한국 화장품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같은 해 연간 수출액은 전년 대비 30% 성장한 102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동남아시아, 북미,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시장 다변화를 통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10월 한 달 동안에도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달성하며 뜨거운 인기를 입증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발표 기준으로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한 25.8억 달러에 달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5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8% 성장하며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이 10.8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19.6%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고, 미국이 10.2억 달러(18.5%), 일본이 5.5억 달러(10.0%)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특히 폴란드는 2024년 이후 급격한 수출 증가세를 보이며 유럽 국가 중 최초로 상위 10대 수출국에 진입, 8위로 1.5억 달러의 수출 실적을 기록해 K-뷰티의 유럽 내 영향력 확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K푸드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10년간, 라면과 건강식품, 조미김 등을 중심으로 'K-푸드' 수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10년간 K-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K-푸드 수출액은 2015년 35억1000만달러에서 2024년 70억2000만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는 최대 기록입니다. 주요 수출국은 미국(1.593억 달러), 중국(1.513억 달러), ASEAN(1.909억 달러), 유럽(6.808억 달러)로,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의 수요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풀 버전 리포트에서 글로벌 진출의 성패는 속도와 정밀함에 대한 내용이 이어집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하세요.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