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 CODE란?
HS코드(HS Code, Harmonized System Code)는 국제 관세기구(WSO)가 개발한 국제 통일 품목 분류 체계입니다. 전 세계 200개국 이상에서 사용하며, 무역의 공통 언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합니다.
- 기본 구조: 6자리 (국제 공통)
- 국가별 확장: 한국은 4자리를 추가해 HSK 코드(총 10자리)
- 예시: 화장품(3304.99), 가방(4202.22)
즉, HS 코드는 글로벌 무역의 첫 출발점이자 세관 통관의 기준입니다.
- 6자리까지는 국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로, 1~2(류), 3~4(호), 5~6(소호) 자리 별로 분류된다.
-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세분화하여 부여하는 숫자이며,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실제 미국(10자리), 일본(9자리), 중국과 유럽(8자리)등 국가별로 차이가 있음
- 우리나라는 구체적인 상품 분류를 위해 추가 4자리를 통해 총 10자리인 HSK 코드를 사용합니다.

출처: 관세법령포털
실제 HS CODE의 예시를 설명해본다면?
조금 헷갈리시죠?? 구체적인 예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예시는 우리 일상에 가장 가까운 4가지 상품을 HS코드로 풀어본다면
커피: 0901.11 / 스마트폰: 8517.12 /면 티셔츠: 6109.10 /자동차: 8703.23 이 됩니다.
류 / 호 / 소호에 따라 물성의 상세함을 설명하는 것이지요.

- 커피: 0901.11
- 09: 커피, 차, 마테, 향신료 등
- 09.01: 커피 (볶은 것 또는 볶지 않은 것)
- 0901.11: 볶지 않은 커피 (카페인을 제거하지 않은 것)
- 스마트폰: 8517.12
- 85: 전기 기기, 음향 기기 등
- 85.17: 전화기, 그 밖의 송수신용 기기 등
- 8517.12: 휴대전화, 그 밖의 무선 통신망용 기기
- 면 티셔츠: 6109.10
- 61: 메리야스 편물, 크로셰 편물로 만든 의류와 의류 부속품
- 61.09: 티셔츠, 싱글릿, 그 밖의 조끼
- 6109.10: 면으로 만든 것
- 자동차: 8703.23
- 87: 철도 외의 차량, 부분품 등
- 87.03: 승용차, 그 밖의 승용차량
- 8703.23: 배기량 1,500cc 초과 3,000cc 이하의 차량
이렇듯 HS코드는 해당 품목의 정확한 정보를 규정 된 숫자를 통해서 정확하게 공유합니다.
HS CODE가 중요한 이유
- 정확한 세금·관세 산정
상품 코드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므로 올바른 코드 사용이 필수입니다.
- 통관 지연 방지
코드 오류 시 세관 심사 지연, 항구 보관료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법적 리스크 최소화
수출자는 HS 코드 사용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잘못된 분류는 벌금·추징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콜로세움과 HS CODE의 연결성
콜로세움은 단순한 물류 운영사가 아니라 Global Logistics DX Partner입니다.
- HS 코드 컨설팅: 올바른 분류 지원으로 통관 지연·벌금 리스크 최소화
- 무역 데이터 DX: HS 코드 기반 데이터를 COLO AI와 연계해 실시간 비용·리스크 관리
- Cross-border Fulfillment: HS 코드 → 통관 →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까지 엔드투엔드 지원
- 실무 경험: 화장품, K-푸드, 패션 등 다양한 산업에서 HS 코드 기반 운영 노하우 축적
즉, HS 코드가 무역의 출발점이라면, 콜로세움은 이를 실질적 성과로 연결하는 파트너입니다.
물류의 시작 HS CODE, 물류의 E2E 콜로세움
HS 코드는 단순한 번호가 아니라 무역과 물류를 연결하는 첫 관문입니다.
정확한 HS 코드 분류 없이는 빠른 통관, 정확한 세금 계산, 글로벌 확장이 어렵습니다.
콜로세움은 HS 코드 관리부터 통관, 글로벌 네트워크 운영까지 물류 DX 파트너십으로 기업의 성장을 지원합니다.
HS 코드가 무역의 출발이라면, 콜로세움은 글로벌 성공으로 이어주는 동반자입니다.
FAQ
Q1. HS CODE는 국가마다 다른가요?
→ 기본 6자리는 국제 공통이지만, 각국의 확장 코드와 세율은 다릅니다.
Q2. 잘못된 HS CODE를 쓰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 관세 추징, 벌금, 통관 지연, 보관료 발생 등 다양한 리스크가 생깁니다.
Q3. HS CODE는 언제 변경되나요?
→ WCO 개정(약 5년 주기), 관세청 고시, 수입국 법령 변경 시 수정됩니다.
Q4. 검색이 잘 안 될 때는 어떻게 하나요?
→ 재질·용도 중심 검색, 영어 키워드 사용, 관세청 사전심사 요청이 효과적입니다.
Q5. HS CODE와 HSK CODE 차이는?
→ HS 코드: 국제 표준 6자리 / HSK 코드: 한국 확장 10자리.
Q6. 전문가 도움을 꼭 받아야 하나요?
→ 단순 품목은 자가 조회 가능하지만, 고위험 품목(의약품, 전자기기, 화장품 등)은 관세사 자문이 안전합니다.
Share article